문제
문제 설명
rows x columns 크기인 행렬이 있습니다. 행렬에는 1부터 rows x columns까지의 숫자가 한 줄씩 순서대로 적혀있습니다. 이 행렬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범위를 여러 번 선택해, 테두리 부분에 있는 숫자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합니다. 각 회전은 (x1, y1, x2, y2)인 정수 4개로 표현하며,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직사각형에서 테두리에 있는 숫자들을 한 칸씩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.
다음은 6 x 6 크기 행렬의 예시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wPXS/btrrxYJwAOD/ap8dYyibsG4PWIpKpk9k3k/img.png)
이 행렬에 (2, 2, 5, 4) 회전을 적용하면, 아래 그림과 같이 2행 2열부터 5행 4열까지 영역의 테두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합니다. 이때, 중앙의 15와 21이 있는 영역은 회전하지 않는 것을 주의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WuIy/btrrEUewyUa/6mwyd13N1MOgF9iKdPF8a1/img.png)
행렬의 세로 길이(행 개수) rows, 가로 길이(열 개수) columns, 그리고 회전들의 목록 queries가 주어질 때, 각 회전들을 배열에 적용한 뒤, 그 회전에 의해 위치가 바뀐 숫자들 중 가장 작은 숫자들을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row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columns는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처음에 행렬에는 가로 방향으로 숫자가 1부터 하나씩 증가하면서 적혀있습니다.
- 즉, 아무 회전도 하지 않았을 때, i 행 j 열에 있는 숫자는 ((i-1) x columns + j)입니다.
- queries의 행의 개수(회전의 개수)는 1 이상 10,000 이하입니다.
- queries의 각 행은 4개의 정수 [x1, y1, x2, y2]입니다.
- x1 행 y1 열부터 x2 행 y2 열까지 영역의 테두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뜻입니다.
- 1 ≤ x1 < x2 ≤ rows, 1 ≤ y1 < y2 ≤ columns입니다.
- 모든 회전은 순서대로 이루어집니다.
- 예를 들어, 두 번째 회전에 대한 답은 첫 번째 회전을 실행한 다음, 그 상태에서 두 번째 회전을 실행했을 때 이동한 숫자 중 최솟값을 구하면 됩니다.
입출력 예시rowscolumnsqueriesresult
6 | 6 | [[2,2,5,4],[3,3,6,6],[5,1,6,3]] | [8, 10, 25] |
3 | 3 | [[1,1,2,2],[1,2,2,3],[2,1,3,2],[2,2,3,3]] | [1, 1, 5, 3] |
100 | 97 | [[1,1,100,97]] | [1]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- 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- 회전을 수행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3
- 이 예시에서는 행렬의 테두리에 위치한 모든 칸들이 움직입니다. 따라서, 행렬의 테두리에 있는 수 중 가장 작은 숫자인 1이 바로 답이 됩니다.
풀이
function solution(rows, columns, queries) {
var answer = [];
let graph = [];
let temp = [];
for(let i = 0; i < rows * columns; i++){
temp.push(i+1)
if(temp.length == columns){
graph.push(temp)
temp = []; //초기화
}
}
queries.forEach((item) =>{
let [x1,y1,x2,y2] = item.map((value) => { return value - 1})
let newGraph = [] //빈배열
//1. 일단 1차원으로 해당 숫자들을 펴보자
for(let i = y1; i < y2; i++){
newGraph.push(graph[x1][i])
}
for(let i = x1; i < x2; i++){
newGraph.push(graph[i][y2])
}
for(let i = y2; i > y1; i--){
newGraph.push(graph[x2][i])
}
for(let i = x2; i > x1; i--){
newGraph.push(graph[i][y1])
}
//2. 한칸씩 이동시키려면 맨뒤에 숫자를 맨 앞으로 보내면 된다.
newGraph.unshift(newGraph.pop())
//3. 그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배열에 넣어보자
let min = Math.min(...newGraph)
answer.push(min)
//3. 그 배열들을 다시 graph에 넣어주자
for(let i = y1; i < y2; i++){
graph[x1][i] = newGraph.shift()
}
for(let i = x1; i < x2; i++){
graph[i][y2] = newGraph.shift()
}
for(let i = y2; i > y1; i--){
graph[x2][i] = newGraph.shift()
}
for(let i = x2; i > x1; i--){
graph[i][y1] = newGraph.shift()
}
})
return answer
}
2차원 배열을 직접 하나씩 옮기는 방식으로 풀려니 도저히 안풀렸는데,
1차원 배열로 맨 뒤 값을 맨 앞으로 옮겨주는 것 만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는걸 알고나서
그 점이 완전 유레카였다는 것을.. 깨달음
잊지말자 **
그리고 array.map, array.filter 등 메서드 사용법 헷갈리지않기.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가장 큰 수 javascript (0) | 2022.02.06 |
---|---|
탐색/DFS, BFS/재귀함수/ (0) | 2022.01.23 |
[프로그래머스] 기능개발 javascript (0) | 2022.01.16 |
[프로그래머스] 124 나라의 숫자 javascript (0) | 2022.01.16 |
[프로그래머스] 오픈채팅방 javascript (0) | 2022.01.13 |